net-tools의 netstate를 사용하였으나 iproute2의 ss를 쓰길 권장한다고 한다.
하지만 초보자로써는 netstat가 예뻐서 더 좋음..(But net-tools를 아예 지원 안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.(install 하면 사용가능))
- netstat(network statistics)
전송 제어 프로토콜, 라우팅 테이블, 수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또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),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
사용 방법 : netstat [옵션] [| grep 포트 번호 or 서비스 명]
netstat -lntp
option :
-l (listen) : 연결 가능한 상태
-n (number port) : 포트 넘버
-t (tcp) : tcp
-u (udp) : udp
-p : 프로그램 이름 / PID
-a : 모두
-i : 이더넷 카드별 정상/에러/드랍 송수신 패킷 수 확인
-r : 라우팅 테이블
-s : 네트워크 통계
- ss (iproute2)
iproute2 : 라우팅 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, 터널, 트래픽 제어 및 네트워크 관련 장치 드라이버를 포함 하여 Linux 커널 에서 네트워킹의 다양한 측면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자 공간 유틸리티 모음
사용 방법 : ss [옵션] [| grep 포트 번호 or 서비스 명]
-l (listen) : 연결 가능한 상태
-n (number port) : 포트 넘버
-t (tcp) : tcp
-u (udp) : udp
-p : 프로그램 이름 / PID
-a : 모두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Netstat
netstat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netstat(network statistics)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, 라우팅 테이블, 수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또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),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
ko.wikipedia.org
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Iproute2
iproute2 - Wikipedia
iproute2 is a collection of userspace utilities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various aspects of networking in the Linux kernel, including routing, network interfaces, tunnels, traffic control, and network-related device drivers. iproute2 is an open-sourc
en.wikipedia.org
https://awesometic.tistory.com/125
ip, ss (iproute2 utils) - 더 빠르고 정확한 ifconfig, netstat 대체 명령어
ifconfg, netstat ifconfig, netstat, route... 이 명령어들은 리눅스 사용자라면 모를 수가 없습니다. 컴퓨터 관련 전공자라면 당연히, 최소 한 번은 들어봤을 거예요. 내 컴퓨터의 네트워크 정보를 알기 위
awesometic.tistory.com
netstat 명령어를 통한 네트워크 상태 확인 방법|작성자 엔클라우드24
엔클라우드24 - 강력한 클라우드 & Idc 인프라 서비스 : 네이버 블로그
당신의 모든 기록을 담는 공간
blog.naver.com
https://www.ibm.com/docs/en/zos/2.1.0?topic=SSLTBW_2.1.0/com.ibm.zos.v2r1.halu101/constatus.htm
https://blueyikim.tistory.com/821
[개요] TCP에서 상태(state) 의미
1. 개요 netstat 명령어를 통해 tcp와 udp를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. 명령어 결과로 상태(State) 컬럼에서는 LISTEN, ESTABLISHED 등 다양하게 값이 올수 있는데, 이 상태에 대한 의미는 아래와 같다. (예
blueyikim.tistory.com
'OS > linux&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h] shellscript에서 db 명령어 실행 작성하기 (0) | 2022.05.27 |
---|---|
[ERROR] -bash: fork: retry: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(0) | 2022.03.31 |
[linux] tee 명령어 (0) | 2021.11.17 |
[LINUX] 자주 사용하는 yum 명령어 (0) | 2021.11.17 |
[ubuntu] 우분투 apt 자주 쓰이는 명령어 정리 (0) | 2021.1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