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aws를 사용하고 있었고, 예전에 엄청 잠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(ncp)를 사용해보았다.
그리고 이번에 Google Cloud Platform(GCP) 를 사용해볼 기회가 생겼다.
바로 gcp를 탐색할때 느낀건 확실히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성격이 다르다는걸 느꼈다는것이다.
예전에 네이버 클라우드를 사용할때 생각난것은 aws와 엄청 비슷한데 네이버 느낌이 살짝 들어간 느낌이였다.
(지금은 또 달라졌을 수 있지만..)
▼ 전체 이미지
서비스 소개 플로우에서도 그렇다.
service | 플로우 | 특징 |
gcp | 기능 정의 > 특징 > 기능 > 사용옵션 (상세한 직관적인 사용처) > 작동방식 > 용도 use case 설명 > 가격 (서비스별) | use case 기반으로 이야기를 해준다. |
aws | 장점 및 기능 정의 > 작동방식 > 사용 사례 > 고객 > 시작하는 방법 | 짧게 짧게 링크로 통해서 다른곳에서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제공 |
ncp | 장점 및 기능 정의 > 상세 기능 > 연동부가 서비스 > 요금 | 짧게 이야기하고 요금에서 좀 더 다양한 이야기를 적어놓았다. |
내가 느꼈을때는 aws 는 찾아찾아가야해서 초보자에겐 너무 어렵다
gcp가 진짜 클라우드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좋은것 같다.
gcp > ncp> aws
써봐야 알겠지만 초보자가 이해하고 뭔가 다가오는게 쉬운건 구글인것 같다. (상세 설명가면 어디든 어렵다ㅠ)
gcp 스토리지 옵션
aws 스토리지 옵션
ncp 스토리지 옵션
반응형
'프로젝트 설정 > AWS|GC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CP/DB] GCP Cloud SQL - DB Server 생성하기 (feat. mysql) (0) | 2024.06.11 |
---|---|
[aws] aws s3 주소 숨기기 1 (feat. cloud front) (0) | 2024.05.16 |
[AWS] awscli로 내 권한 확인하기 (0) | 2023.08.10 |
[AWS] cli를 이용한 s3 파일 삭제하기 (feat. ubuntu) (0) | 2023.02.10 |
[AWS] FTP 지원 서버 만들기 (feat. AWS Transfer Family) (0) | 2022.07.06 |